본문 바로가기
Light Review

후지 GFX100S, GF20-35F4, GF63mm F2.8, GF 100-200 F5.6, 미타콘 80mm F1.6, 리코 GR3X

by coinlover 2025. 3. 31.

 

 

 

핫셀블라드 907X CFVII50C를 보내고 헛헛한 마음을 달래던 중 후지 GFX100S의 가격이 매우 착하게 형성되어 있길래 잠시 써볼 마음으로 영입했다. 근데 1억 200만 화소의 중형 디지털카메라가 만들어주는 결과물이 놀랄 만큼 좋았다. 후지의 기본 색감은 내 기준에서 너무 강렬해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그래서 필름 시뮬레이션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그걸 감안하고라도 계속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같은 중형이지만 5000만 화소의 GFX50R, CFVII50C의 사진은 소니 A7R4, A7CR, A7R5 등 6000천만 화소대의 35판형 풀프레임 카메라의 것을 압살하는 화질을 보여주지는 못했고 1억 화소라고 뭐 그리 드라마틱하게 다르겠나 했는데 막상 사용해 보니 딱 맞는 도수의 안경을 새로 맞춘 듯한 선명함을 느낄 수 있었다. 요 근래 A7R5보다 GFX100S를 들고나가는 날이 많아져서 필요 화각을 확충해나가다 보니 어느새 광각, 표준, 망원 영역 대의 구색을 다 갖추게 됐다. AF 등의 촬영 편의성은 확실히 소니 미러리스를 따라가지 못하지만 화질이 그 모든 불편함을 감수하게 만든다. 핫셀블라드 907X CFVII50C의 사용 경험에 비춰보면 후지의 기계적 성능은 선녀 수준이라 어렵지 않게 적응할 수 있었다. 후지 중형은 출시 후 가격 방어가 잘 안 되는 편이라 한 세대쯤 지난 버전을 구하면 꽤 가성비 좋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의 편의성, 가격, 중고거래 등 여러 부분을 고려해 볼 때 핫셀블라드 계열보다 후지가  호기심에 디지털 중형을 경험해보고 싶은 사진가들에게 더 추천할만하다. 

 

 

 

후지 GFX 시스템이 주력 바디가 되어 가면서 일상 기록용으로 GR3X를 들였다. 1억 200만 화소의 중형으로 기록용 음식 사진을 찍기는 부담스럽고(저장 용량의 압박이 정말 심각하다.) 사진기도 거대한 편이라 이런 사진을 이렇게 까지 찍어야 할까 하는 생각이 들때는 GR3X로 찍는다. 작은 카메라 특유의 촬영 감각을 이만큼 잘 살린 모델도 없기에 거리 스냅용으로도 딱이다. GR 기본형의 28mm와 다르게 X모델은 40mm 정도의 화각이라 좀 더 집중도 있는 사진을 찍기 좋다. 후지 X100 시리즈를 GR과 비교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X70이라면 모를까  X100V나 VI은 실제로 사용해보면 GR과는 완전히 다른 종류의 카메라다. 여기서 조금만 커져도 휴대성이 크게 달라져 버리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