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통영 여객선 터미널 앞에 있는 문참치에서 생참치덮밥을 포장해왔다. 맛은 괜찮았고 양도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내가 시랑하는 연분홍색 뱃살은 한 점도 없었던게 못내 아쉬웠다. 참치는 결국 뱃살이지. 그 부드럽고 고소한 기름맛을 기대하지 않고서야, 누가 참치를 찾겠는가. 예전에는 덮밥 가운데 작게 한점 정도는 서비스로 올려주시곤 했는데 지속되는 불황이 사장님의 여유를 앗아가버렸나보다. 통영은 해산물의 천국이라 불린다. 굳이 그런 표현을 쓰지 않더라도 시장엔 늘 생선이 넘쳐나고, 포구에선 갈매기가 선창을 날아다닌다. 그런데 이 도시에서 의외로 참치 한 점을 그럴싸한 비주얼로 낼 줄 아는 집을 찾기란 어렵다. 내가 못 찾는 걸까, 아니면 정말 없는 걸까. 참치는 통영 근해에서 나는게 아니니까 그냥 내 놓은걸까? 해산물을 잘 다루는 집은 넘쳐나지만 바다로부터 훨씬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진주의 어느 뒷골목에서 만났던 숙성회 모리아와세에도 미치지 못하는 플레이팅이나 선도만을 중시하는 스타일이 늘 아쉽다. 괜찮은 퀄리티의 장어를 파는 곳은 있지만 부산 어딘가에서 먹은 장어덮밥 같은 걸 기대하긴 힘들다. 삿포로 니조 시장에서 후루룩 넘겼던 카이센동 정도를 기대하진 않지만 서울에서 먹었던 프랜차이즈 카에센동 정도의 메뉴라도 근처에서 먹을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하지만 통영은 통영이다. 이곳 사람들은 그런 것을 기대하지 않는다. 이 도시는 시장의 활기와 항구의 정서가 어울려 이루는 토속적 음식문화가 있고 그것을 무엇보다 높이 치는 곳인 것이다. 그러다 보니, 내 입맛에 딱 맞는 곳은 결국 하나, 니지텐뿐이다. 거기서 먹는 텐동은 늘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고, 평범한 듯하면서도 남다른 감각이 느껴진다. 자주가는 이자까야 셰프장도 정말 좋다. 하지만 가격을 맞추려 애쓰다 보니, 쓰고 싶은 재료를 마음껏 쓰지는 못하는 듯하다. 맛에는 그런 사정도 배어 있다. 요리사는 손님을 배려하지만 동시에 자신도 싸운다. 식재료와 가격과 손님들의 기대 사이에서 줄타기를 한다. 나는 가끔 그 줄 위에서 중심을 잃고 있는 요리사를 응원하고 싶어진다.
진주의 한 편의점에서 구입했던 지드래곤 하이볼 피스마이너스원. 이렇게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걸 보니 한정판은 아닌가 보다. 맛은 뭐 그냥 저냥 무난한 편의점 하이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