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결국 교과서 국정화가 발표되었다.

 

주위 여론은 보면 반대하는 사람만 가득한데

 

국민통합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한다.

 

사실 교과서 국정화는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이미 발표한거나 다름없다.

 

'내 삶이 대한민국이었다'

 

라는 그의 발언은 이 모든 사태를 설명해준다.

 

 

교과서가 국정화된다고 해도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 차이를 느끼지 못할 것이다.

 

조선시대사까지는 서술은 큰 문제가 없을 것이고

 

근대사 이후 부분의 변화가 클 것이나

 

그것도 문구 하나 하나 분석하지 않으면 그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기 힘들 수준이니까.

 

아무 생각없이 읽으면 예전 교과서나 지금 교과서나 큰 차이를 느끼기 힘들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게 무서운거다.

 

큰 거부감 없이 읽히는 그 문구 하나 하나가

 

학생들의 의식을 어느 순간 규정하게 된다.

 

일제강점기에 암송을 강요한 황국신민서사.

 

'저는 충량한 천황폐하의 신민입니다'

 

이런 문구를 외우게 한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하지만 그 교육을 10년 정도 하니 일제가 패망했을때 슬퍼한 조선인이 등장하게 되었다.

 

'우리는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

 

국민교육헌장의 암송을 강요당했던 학생들은

 

선생님께서 태어난 이유를 물었을때 민족 중흥을 위해서라고 대답했었다.

 

교육이란 그렇게 시나브로 이뤄져 한 사람의, 한 집단의, 한 나라의 의식을 틀에 가둬버린다.

 

그래서 절대로 누군가의 이익을 위해서 이뤄져서는 안된다.

 

 

나는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한다.

 

그것은 다양성을 추구하는 현대의 교육 이념에 완전히 반하는 일이고

 

올바른 역사의식이라는 이름으로 학생들과 교육현장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전체주의적 발상이기 때문이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국론의 분열은 당연한 일이다.

 

항상 분열되고, 격렬히 의사소통이 이뤄져야하며

 

많은 진통 끝에 결론에 도달해야 한다.

 

그리고 그 결론도 절대적인 것이라 생각해서는 안된다.

 

국론이 아무 문제 없이 통일되는 국가,

 

지도자가 바라는 방향으로 아무 생각없이 달려가는 국가의 예를 우리는 많이 봐왔다.

 

대표적인 것이 독일의 나치즘이었고

 

일제의 군국주의였다.

 

그리고 그 나라들의 말로는 여기서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다들 알고 있을 것이다.